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전세계약 연장 시 계약서 작성 방법

by New Digital Nomad Man 2025. 3. 19.

전세계약 연장 시 계약서 작성 방법

 

전세 계약 연장을 위해 계약서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, 아래와 같은 사항을 참고하시면 됩니다:

  • 계약서 작성 장소: 계약서는 반드시 부동산 중개사무소에서 작성할 필요는 없습니다. 집, 카페 등 임대인과 임차인이 협의한 장소에서 작성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부동산 중개업소를 통해 계약을 진행하면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계약서 작성 필요 여부: 기존 조건(전세금 등)이 동일하다면 계약서를 다시 작성할 필요는 없습니다. 기존 계약서로도 충분히 증빙이 가능하며, 새로운 계약서를 작성하면 확정일자 기준이 변경될 수 있어 기존 우선순위가 밀릴 수 있습니다.
  • 계약서 작성 시 주의사항: 만약 보증금이 변경되거나 조건이 달라지는 경우, 새로운 계약서를 작성해야 하며, 기존 계약의 연장임을 명시해야 합니다. 이를 통해 최초 계약 시점의 우선순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은행에서 요구하는 경우라면, 기존 계약서를 제출하거나 필요 시 부동산 중개사무소에서 도움을 받아 새로 작성하시면 됩니다.

 

 

전세계약 연장 시 계약서 작성 방법을 순서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:

 

  1. 기존 계약서 준비: 연장 계약 작성 전 기존 계약서를 준비합니다.
  2. 연장 계약서 양식 준비: 일반적인 전세 계약서 양식을 사용하거나 기존 계약서와 유사한 형식을 준비합니다.
  3. 변경사항 확인: 보증금, 계약 기간 등 변경될 내용을 확인합니다.
  4. 계약서 작성:
    • 보증금 기재: 변경된 보증금을 한글과 아라비아 숫자로 정확히 기입합니다 (예: 일억칠천만원정 (\170,000,000)).
    • 임대차 기간 명시: 새로운 계약 기간을 명확히 기재합니다.
    • 특약사항 추가: 필요한 경우 특별한 조건이나 합의사항을 기재합니다.
  5. 날짜 기입: 계약서 작성 날짜를 정확히 기재합니다.
  6. 서명 및 날인: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계약서에 서명하고 도장을 찍습니다.
  7. 확정일자 취득 (필요시): 보증금이 증액된 경우 새로운 확정일자를 받습니다.

주의사항:

  • 보증금이 감액되거나 동일한 경우, 새 계약서 작성이 필수는 아닙니다.
  • 보증금 증액 시에는 반드시 새 계약서를 작성하고 확정일자를 받아야 합니다.
  • 계약 조건이 완전히 동일한 경우, 기존 계약서에 연장 문구만 추가하고 직인을 찍어도 됩니다.

이 과정을 따라 정확하고 안전하게 전세계약 연장 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